안녕하세요.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이번에는 구글의 실적발표입니다. 구글도 클라우드 사업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추구하고 있는데요. 과연 이번 실적이 어땠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적 하이라이트
- 매출 : $68.011B (YoY 23% 성장)
- 영업이익 : $20.094B (YoY 22% 성장)
- 영업이익률 : 30%
- 순이익 : $16.436 (YoY 9% 감소)
- EPS : $24.62
사업부별 실적
구글 서비스 (검색 및 광고)
매출 : $61.472B (YoY 약 20% 성장)
영업이익 : $22.92B (YoY 약 16% 성장)
영업이익률 : 37.2%
- 구글 검색 : $39.618B (YoY 약 24% 성장)
- 유튜브 광고 : $6.869 (YoY 약 14% 성장)
- 구글 네트워크 : $8.174 (YoY 약 20% 성장)
- 그 외 : $6.811B (YoY 약 4.8% 성장)
구글 클라우드
매출 : $5.821B (YoY 약 44% 성장)
영업적자 : -$931M
그 외 사업부
그 외 사업부는 알파벳 인큐베이터에 존재하는 기업들을 의미합니다. (Ex. 웨이모, 딥마인드 등)
매출 : $440M (YoY 약 122% 성장)
영업적자 : -$1.155B
그 외 뉴스
구글이 700억 달러 (약 84조 원)에 달하는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정확히 매입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추후 주가와 시장 상황을 고려해서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유튜브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틱톡의 쇼츠에서 시작된 새로운 경쟁으로 인해 구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이 모두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이 경쟁의 향방에 따라 해당 기업들의 이익이 어떻게 개선될지 정해질 것 같습니다.
클라우드 산업은 정말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후발주자인 구글의 경우에 매출 성장은 양호하지만 아직 영업적자를 내고 있다는 점이 아쉽게 보입니다. 다만 후발주자로서 더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이 그나마 구글 클라우드의 위안이 되고 있습니다.
마무리
앞으로 구글은 전보다 더한 성장 압박에 놓일 것 같습니다. 아직 사업의 다각화가 완성되지 않았고, 클라우드는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지만 아직 영업적자를 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과 같이 매크로 시황이 안좋은 경우엔 그리 매력적인 주식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더 좋아보입니다.
다만, 더 장기적으로 봤을때 구글의 잠재력을 무시하긴 어렵습니다. 유튜브 플랫폼의 영향력은 하루하루 더 커지고 있고, 클라우드 또한 엄청나게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을 저점으로 생각하지 않고 중장기적으로 분할매수하는 방법도 나쁘지 않다라고 생각합니다.
'나의 눈송이 > 나의 주식 눈송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AAPL) - 2022년 1분기 실적분석 (0) | 2022.04.29 |
---|---|
마이크로소프트(MSFT) - 2022년 1분기 실적분석 (0) | 2022.04.29 |
코카콜라(KO) - 2022년 1분기 실적분석 (0) | 2022.04.29 |
테슬라(TSLA) - 2022년 1분기 실적분석 | 한 줄기의 빛 (0) | 2022.04.22 |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 - 21년 4분기 실적분석 | 이런 기업에 장기 투자를 해야하지 않을까? (0) | 2022.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