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눈송이/나의 주식 눈송이

스퀘어(SQ) - 2021년 2분기 실적 분석

2021. 8. 18.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오늘은 제 포트폴리오에서 2번째로 높은 주식, 그리고 얼마 전 실적 발표 후 약 10% 이상 상승한 스퀘어의 2021년 2분기 실적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아직은 제가 이러한 실적 분석을 하는 데 있어 아직 확실한 글의 양식을 잡지 못했습니다. 글의 양식을 잡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글을 써보려고 하니 그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아직 경험이 부족해 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에 있어 오류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물론 아주 천천히 열심히 썼습니다.) 쓰다보니 부족함을 많이 느껴서 미리 알려드립니다.

 

주요 실적

  • 매출총이익 $11.4B (전년 동기 대비 91% 성장)
    ㄴ 캐시앱 : $546M (전년 동기 대비 94% 성장)
    ㄴ Seller Ecosystem : $585M (전년 동기 대비 85% 성장)
  • 월간 활성 사용자의 유입이 거의 2배로 증가하고, 고객당 매출총이익이 2.5배나 상승
  • 소프트웨어 및 통합결제는 Seller 사업부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매출총이익이 4년간 50%에 육박). 이로 인한 고객 유지율의 상승
  • 당기순이익 $204M
  •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 TIDAL 인수

스퀘어 전체, 캐시앱, Seller의 매출총이익


Cash App 사업부

  • 월간 활성 사용자 4000만 도달
  • 6월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 중 2/3가 주간 활성 이용자
  • 2년 전 대비 Cash App의 네트워크 양이 4배로 증가
  • 2분기에만, 약 450만의 고객이 캐시앱을 통해 주식과 ETF를 보유 (전년 대비 3배↑)
  • Cash App 내 예금의 활성화 : 월간 활성 고객당 매출총이익은 $55, (2년 전 대비 2.5배)

Seller Ecosystem

  • 스퀘어 뱅킹 오픈
    ㄴ Square Saving : 스퀘어 저금통의 개념
    ㄴ Square Checking : 스퀘어 체크카드 (예금보험공사 보증, 직불카드 사용, 임금 지불 등)
    ㄴ Square Loan : 스퀘어 대출
  • Seller의 총 거래 대금(Gross Payment Volume)의 증가 (Cash App 사용금액 제외)
    2021년 2분기 Seller의 총결제대금
    연간 $500K 이상 거래 고객 : $13.7B (전년 대비 2배 성장, 전체 중에서도 1/3 해당)
    연간 $125K ~ $500K 거래 고객 : $11.6B
    연간 $125K 이하 거래 고객 : $13.4B
    총 : $38.8B (약 40조, 고액 거래고객($125K 이상) 65%)
  • 소프트웨어와 통합결제 시스템의 매출 비중의 증가
  • 글로벌 시장의 진출
      ㄴ 호주 : 대출 서비스 오픈
      ㄴ 캐나다 : 즉시 송금 서비스 오픈
      ㄴ 아일랜드 :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동반한 포괄적인 서비스 오픈

스퀘어 실적

● 전체 매출 실적

  매출(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매출총이익(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총 매출 $ 4.68B (143%) $ 1.14B
비트코인 제외 총 매출 $ 1.96B (87%)  
거래 기반 매출 $ 1.23B (80%) $ 543M (85%)
구독 및 서비스 매출 $ 686M (98%) $ 561M (90%)

전체 매출이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구독 및 서비스 매출의 매출 총이익률이 어마어마한 것 같다.

 

사업부별 매출 실적

CASH APP 매출(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매출총이익(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총 매출액  $ 3.33B (177%)  $ 546M (94%)
비트코인 제외 총매출액 $ 606M (87%)  
 
  매출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거래 기반 매출액 $ 111M 107%
캐시앱 구독 및 서비스 매출액 $ 495M 83%
비트코인 거래 매출액 $ 2.72B (매출 총이익 : 55M) 약 300%

매출액은 엄청나게 크지만 수익률이 높지 않은 비트코인 매출이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가이던스에서도 변동성이 심해서 매출과 매출 총이익률의 변동성은 지속될 것이라고 한다. 비트코인 매출 때문에 수치에 거품이 끼게 되어 재무제표를 볼 때, 조심해서 봐야 할 것 같다.

 

SELLER ECOSYSTEM 매출(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매출총이익(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총 매출액 $ 1.31B (81%) $ 585M (85%)
거래 기반 매출액 $ 1.12B (78%)  
구독 및 서비스 매출 $ 151 M (101%)  

셀러 부분의 매출과 매출총이익도 잘 성장하고 있다. 매출은 연평균(CAGR) 약 21% 씩 성장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스퀘어는 지역적인 리오프닝 아래 소비자의 소비와 정부의 경기부양금을 기반으로 카드의 결제량이 증가했다고 말하고 있다.

 

2021년 2분기 동안 Seller의 총 거래 대금은 전년 동기 대비 86%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수치 아래 스퀘어는 이러한 트렌드를 발견했습니다.

  • 카드 거래액 :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
  • 무카드 거래액 :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

  • 미국의 대도시 지역이 Seller 총 거래 대금의 상승률이 다른 도시에 비에 훨씬 컸다.
  • 해외 시장의 경우, 계속된 락다운이 있었지만 좋은 거래 대금 성장률 기록

Seller의 구독 및 서비스 매출은 $151M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성장을 했습니다. 그중에서 대출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 $778M 상당의 약 10만 5천 건의 대출
    • 그중 $151M 상당의 임금 보호 프로그램 대출 15000건
    • 그중 $627M 상당의 마이 너트 신용 대출 89000건

그 이외에도 4400만 달러의 하드웨어 매출 등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기대

Seller Ecosystem :

Seller 총 거래대금이 전년 동기 대비 45% 이상이 되는 것을 기대 (리오프닝 수혜)

 

Cash App :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한 총매출 이익 기대, 캐시앱의 생태계에 의해 더 많은 고객의 자금이 유입되기를 기대.

 


이번엔 재무제표를 살펴보겠습니다. 

손익 계산서 ( 출처 : 스퀘어 )

2021년 2분기 총매출은 $4.68B이고, 매출원가는 $3.54B으로 매출총이익은 $1.14B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거기에 영업비용이 $1.01B 정도 들어가 125M 정도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그 외의 손익과 법인세를 납부한 결과 당기순이익이 $204M으로 나왔습니다. 전년 동기에는 적자였는데, 흑자 전환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현금흐름표입니다.

 

현금흐름표 (출처 : 스퀘어)

약 $297.8M의 영업현금흐름을 창출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거의 $940M에 가까운 금액을 투자활동에 사용을 했군요. 그리고 이번에도 $170M 정도의 비트코인을 투자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퀘어는 분기 현금흐름표에서는 CAPEX 투자액 같은 금액은 안 알려주는 건가 보내요. (이 부분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스퀘어의 이전 4분기의 현금흐름표 (출처 인베스팅 닷컴)

이 수치를 자세히 살펴본 결과,

  •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전년대비 많이 좋아졌으나, 꾸준히 상승하는 형태는 아니다.
  • 앞서 언급한 투자활동 현금흐름의 사용처를 알 수 있다. (비트코인도 많이 사지만, 채권을 많이 사는 게 보이네요.) 

    ※ 대차대조표에 Marketable Debt Securities가 Asset으로 나오는 거 보니 채권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해 채권까지 늘려가는 것을 보니, 뭔가 스퀘어가 단순히 핀테크 기업을 넘어 건실한 은행으로 성장을 하고 싶은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아직은 스스로 공부를 하는 단계입니다. 틀린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