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눈송이/나의 주식 눈송이

스퀘어(SQ)- 2021년 3분기 실적분석

2021. 11. 6.

실적분석-썸네일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핀테크 기업, 스퀘어의 2021년 3분기 실적에 대한 분석을 해보려고 합니다. 2021년 11월 4일, 장마감 후에 실적발표를 했습니다. 그 이후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을 하고 있는데 도대체 왜 주가가 떨어지고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적 하이라이트

 

3분기-실적-하이라이트
3분기 실적 하이라이트

매출총이익 (Gross Profit) : $1.13B (YoY 43% 상승)

    ㄴ SELLER : $606M (YOY 48% 상승)

    ㄴ CASH APP : $512M (YoY 33% 상승)

 

EBITDA : $233M (YoY 28% 상승)

 

순이익 (Net Income) : $0M

 

 

모든 실적이 전년동기대비 성장한 것은 알고 있으나, 전분기 대비 성장이 없어나 오히려 매출이 줄어든 경우가 발생했습니다. SELLER 부문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지만, CASH APP 부분에서 전 분기보다 매출총이익이 감소했습니다. 순이익의 경우 굉장히 들쭉날쭉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2020년 4분기에 DoorDash가 상장을 하면서 DoorDash에 투자한 스퀘어는 이에 대한 수익을 얻었습니다. (즉 기업의 영업활동에 의한 수익이 아니네요.) 4분기에 스퀘어는 투자 수익으로만 $294M의 이익이 발생했고, 그 중 $255M가 DoorDash에서 발생했다고 나와있습니다. 즉 그것을 제외하면 순이익은 $20~30M 정도로 확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네요. 

 

그 이후의 순이익의 내용을 봐도 유의미한 매출도 있지만, 지분 투자에 대한 평가 이익이나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의 가치변동에 따른 순이익의 변동이 있네요. 스퀘어를 투자할때 이런 상세한 부분을 인식하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 이번 분기에는 $6M의 지분투자 평가이익 손실과 $7M의 비트코인 손상으로 인한 손실이 있었습니다. 

 

 

실적 상세

 

순매출 : $3.84B (YoY 27% 증가)

비트코인 제외 순매출 : $2.03B (YoY 45% 증가)

 

거래 기반 매출 : $1.30B (YoY 40% 상승)

거래 기반 매출총이익 : $543M (YoY 35% 상승)

 

구독 및 서비스 매출 : $695M (YoY 55% 상승)

구독 및 서비스 매출총이익 : $563M (YoY 48% 상승)

 

SELLER 부문

 

총매출 : $1.39B (YoY 44% 상승)

매출총이익 : $606M (YoY 48% 상승)

 

거래 기반 매출 : $1.19B (YoY 41% 상승)

GPV(순결제액)는 YOY 45% 상승

    ㄴ 대면 결제 : YoY 55% 상승 (리오프닝이 시작되며 회복세가 보임)

    ㄴ 비대면 결제 : YoY 29% 상승 (여전히 강력한 성장이 보임)

하드웨어 매출 : $37B YoY 36%

 

 

Cash App 부문

 

총매출 : $2.39B (YoY 16%)

매출총이익 : $512M (YoY 33%)

 

비트코인 매출 : $1.82B

비트코인 매출총이익 : $42B

 

거래 기반 매출 : $103M (YoY 41% 상승)

GPV(순결제액) : $3.7B YOY 27% 상승

    ㄴ Cash for Business

    ㄴ Peer to Peer Transaction (business account)

    ㄴ Peer to Peer Transaction (credit card)

구독 및 서비스 매출 : $475M (YoY 34% 상승)

 

비용

 

GAAP : 1회성 비용포함

Non-GAAP : 1회성 비용포함X

 

영업비용 : $1.11B (YoY 49% 상승) , $906M (Non-GAAP, 47%)

    ㄴ 제품개발 : $367M (GAAP, YoY 61% 상승), $222M (Non-GAAP, YoY 63% 상승)

    ㄴ 세일즈 & 마켓팅 : $408M (GAAP, YoY 17% 상승), $392M (Non-GAAP, YoY 17% 상승)

        ㄴ 캐시앱 마켓팅 비용 6% 증가

        ㄴ 그 이외 비용 38% 증가

    ㄴ 판관비 : $267M (GAAP, YoY 74% 상승), $231M (Non-GAAP, YoY 77% 상승)

        ㄴ Afterpay 인수비용도 포함됨

 

비트코인 투자

 

2020년 4분기와 2021년 1분기에 각각 $50M과 $170M를 비트코인에 투자. 비트코인은 평가기간 중 장부금액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손상차손처리를 합니다. 그래서 3분기에 6M의 손상차손을 기록했습니다. 9월 30일 기준으로 투자금액보다 $203M 더 높은 $352B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유지되면 될수록 안정적인 자산을 하나 더 보유한 기업으로 평가해도 되겠네요.

 

 

마무리

 

이번 3분기 스퀘어의 컨센서스는 $4.48B이였으나 실제로 나온 수치는 $3.84B로 Miss했으며 2분기보다도 떨어진 기록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을 제외한 매출의 경우에도 Miss하긴 했지만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보여줬습니다. 지금까지 주가 성장을 이끌어온건 Cash App의 성장이였는데 YoY 16%로 성장의 속도가 줄어든 것은 안좋은 뉴스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Forward Guidance를 통해 더 많은 비용을 연구개발과 세일즈 & 마켓팅 같은 곳에 투자를 할 것을 언급했습니다. 전 분기 대비 $115M 정도 증액된 금액을 투자할 것 같습니다. (연간 기준으로 봤을땐 작년대비 비용 55% 증가) 이렇게 많은 투자를 한다는 것은 앞으로도 한동안 순이익의 측면에선 계속해서 안좋은 지표가 나올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론 펀더멘탈이 더 탄탄해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네요. 스퀘어를 투자하시는 분들은 이 점 참고해야할 것 같습니다. 

 

사실 요즘 비자, 마스터를 비롯해서 페이팔까지 주가의 움직임이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핀테크 자체에서 유동성이 약간 줄어드는 느낌이 없지않아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어쩌면 이는 추가 매수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왔다고 생각할 수 있는것 같습니다. 조만간 핀테크 기업들을 모두 조사해보는 시간을 가져봐야할지도 모르겠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