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눈송이90 재무제표 기초다지기 (1) - 영업이익편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제가 블로그를 시작한지 약 3주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제가 3주동안 많다면 많은 글을 쓰면서 느낀 내용은 제가 기업을 판단할때 재무제표에 대한 분석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물론 요즘 많은 기업들이 높은 PER이나 PBR 등을 보이면서 재무제표가 의미가 있나라는 생각이 들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재무제표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것을 느낍니다. PER이 높다면 동종업계 다른 기업 평균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통해 고평가 저평가를 예상할 수 있고 재무제표를 통해 남들이 보지못한 저평가의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요즘 유튜버들이 엄~청 많아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우량주나 인기주식은 사실 분석영상이 하나하나 올라옵니다만 제가 보고자하는 기업의 분.. 2021. 7. 30. 차트로 정리하는 부의 시나리오 (부의 시나리오 3탄)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드디어 부의 시나리오를 완독하고 마지막으로 부의 시나리오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이 이미지는 제가 책을 읽고 4 사분면으로 나눠 고성장-저성장, 고물가-저물가로 정리된 4가지의 시나리오입니다. 하지만 이 4가지를 모두 하나하나 달달 외울 필요는 없고 케이스를 이해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1. 고성장 : 주식 GOOD (금리가 낮으면, 대출이 쉬워 돈을 아직 못버는 성장주가 좋음, 반대로 높으면 실적이 좋은 기업이 좋음) 2. 고물가(금리 상승) : 원자재·금 GOOD (금리 상승(= 인플레이션)은 화폐 가치의 하락을 의미하고, 그것은 원자재 및 금의 가격 상승을 의미함) ※ 금은 실물자산 (화폐 가치(특히 달러)와 반대로 가는 경향이 있음, 경제 위기가 오는 경우 달러선호.. 2021. 7. 23. 최근 뉴스로 다뤄보는 한국은행의 움직임 (부의 시나리오 정리 2탄)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 상황을 다뤄볼려고 하는데요. 때마침 대한민국의 기준금리에 대한 뉴스가 있어 더욱 이해하기 좋았습니다. 2021. 7. 20. 중국 투자... 어떻게 생각해야할까..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오늘은 평소와는 좀 다른 고민을 하게 되어 글을 써봅니다. 2020년 3월 펜데믹은 어쩌면 많은 사람들에 인생에 있어서 엄청난 변곡점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시기에 투자를 시작했고, 자산 가격의 엄청난 상승을 보았으며, 노동의 가치는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러한 세상에서 살다보니 세상이 변하고 있는 시그널 하나하나에 신경이 쓰이는데요. 저는 그 중에 가장 큰 시그널의 바로 중국의 부상입니다. 요즘 확실히 느끼는 건 중국의 목소리가 전보다 확실히 크고 당당해진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이 중국의 저러한 행동에 불편함을 드러내며 여러가지 규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중국은 내수 위주의 성장을 통해 생각보다 덤덤하게 버텨내고 있는것 같습니다... 2021. 7. 15. 단어로 배우는 금융시장의 흐름 (부의 시나리오 정리 1탄)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오늘은 특별한 주제를 다루는 것은 아니구요. 오건영 팀장님이 쓰신 라는 책을 읽고, 그 부분에서 나온 몇몇 단어를 설명하면서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기회를 가져보려고 합니다.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전에 쓴 에 이어서 좋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책 다 한 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내용을 아주 어렵지 않게 설명해주셔서 Top-Down 기초를 다지기 아주 좋은 책같습니다. 자 이제 한 번 기록해볼까요? - 블랙스완 - 블랙스완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을 것 같던 일이 실제로 일어난 경우를 표현하는 용어입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코로나19 사태라고 할 수 있겠죠. 2020년 1월 설날까지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던 코로나가 중국에서 한국 및 동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로 퍼져서 3월에 팬.. 2021. 7. 13. 중국 주식 주의보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절대 철칙은 아니지만 한동안 하지않을 투자 방법을 적으려고 합니다. 제목에서도 아시겠지만, 바로 중국 주식 투자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성장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나 생각보다 주가적인 측면에서 기업의 펀더멘탈이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해 고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중국주식에 대한 대처를 어떻게 할지 한번 써보려고 합니다. 중국 당국에게 있어서 미국을 이기는 것보다 중요한 것 ! 그것은 바로 체제 유지 제가 앞서 쓴 알리바바에 관해 쓴 글이 있었죠. 알리바바를 손절 후보로 올려놨습니다. 그리고 행동으로 옮기려고 했지만, 개인적으로 일이 많아 주식을 매도하지 못했는데요. 7월 8일 오늘 대폭 하락이 온 앞서 있던 기회에 매도를 하지 못한 것에 너무 큰 아쉬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월의.. 2021. 7. 9. 유월의 손절후보 1탄 (알리바바)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오늘은 제가 매도를 고민하고 있는 주식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바로 그 기업은 중국 최대의 유통기업 알리바바입니다. 2021년 6월 결산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첫 인사 후, 처음으로 올리는 글이네요. 사실 저는 다른 커뮤니티에서 글을 꾸준히 쓰지만, 이번에 이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이 곳에서 글을 쓰려고 합니다. 별 다른 이 stocksnowball.tistory.com 6월 결산에서 보면 알리바바의 비중은 약 4.8% 정도 보유하고 있는데, 약간 마이너스인 상태입니다. 다행이도 크게 손실을 보고 있는 상태는 아니구요. 알리바바의 매력 ? 사실 알리바바의 펀더멘탈만 본다면, 알리바바는 버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매출, 이익, 성장 하나 나무랄께 없는 아주 건실한 기업.. 2021. 7. 5. 유월의 매수 후보 검토 1탄 (LVMH 그룹) 안녕하세요. 유월입니다. 오늘은 제가 매수를 고민하고 있는 주식을 1개 공유하는 글을 써볼까 합니다. (아직 매수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면서 저 스스로를 설득이 되는지 저 스스로도 궁금하구요 ㅎㅎ 오늘의 기업은 제목에서 보셨다시피 LVMH 기업입니다. 저의 포트폴리오를 보셨던 분들은 아시겠지만 IT 성장주를 베이스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약간의 가치주를 통해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편입니다. (아직 20대라 생각보다 더 공격적일 수도 있습니다.) 우선 LVMH 그룹을 아시는 분도 있겠지만 모르는 분을 위해 한 번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대부분의 명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왠만한 명품 브랜드는 이 LVMH 그룹 산하의 브랜드일 확률이 .. 2021. 7. 2.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